m-ATX보드에 Geforce GTX 550Ti, TV수신카드, 별도의 사운드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저로써는 550Ti가 2슬롯을 차지하기에 여분의 PCI 슬롯을 확보할겸 1슬롯 VGA를 알아보았고, 그중에 가장 눈에 띄는 제품이 바로 VTX3D사의 AMD?Radeon HD7750 제품이었습니다.
그런데 운좋게도 이번에 디지탈그린텍 사의 XFX – AMD Radeon R9 280X 포토샷 리플 이벤트에 응모하여 당첨되었고, VTX3D사에서 제조한 AMD Radeon HD7750 D5 1GB LP라는 제품을 상품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제품을 받고나니 기존에 눈여겨 보았던 제품의 LP(Low Profile) 버전이라는 부분이 많은 흥미를 불러일으키더군요.
좋은 제품을 사용해볼 수 있게 당첨시켜주신 디지탈그린텍 사에 감사 말씀드립니다.
제품의 포장 상태
박스 전면에 보이는 루비처자… 라라 크로포드도 세월이 갈수록 기술(?)의 힘으로 이뻐지는데 AMD 루비는 어떻게된게 진보가 없습니다. 발전이 없는 처자예요.
박스 후면에는 영어를 포함한 7개 국어로 제품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습니다. VTX3D사의 주요 시장인가 본데, 한국 시장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어서 한국어 설명이 없는게 많이 아쉽습니다.
제가 구입했었던 EVGA사의 GTX 550Ti도 그렇고 중저가 제품들의 내부 보호포장은 썩좋지를 못했는데, 이 VTX3D사의 HD7750의 내부보호포장은 생각보다 안전해 보여서 놀랬습니다. 내부 포장은 두꺼운 두께의 종이보호대와 함께 붉은색 뽁뽁이로 포장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충격에는 잘 버틸것 같았습니다.
제품의 외형
LP버전이라 그런지 기판 높이가 상당히 낮습니다. 거기에 함축시켜서 그런지 일반 버전보다 굉장히 빽빽해 보입니다. 포트는 DVI, HDMI, D-SUB 등 세가지를 제공하고 있으며, LP 버전을 위해 두개의 브라켓을 더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전력 제품이라 6핀 전원포트는 필요하지 않으며, 쿨링팬의 경우 최하위 라인 제품에서 볼 수 있는 조그만 쿨러가 장착되어 있는데, 저전력이라 발열량도 크지 않아 이런 조그만 쿨링팬으로도 냉각이 잘되는 모양입니다.
부속물
드라이버 CD도 제공하고 있는데, ATI 브랜드가 없어진지 꽤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CD 표변에 ATI 로고를 인쇄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오토런을 통해 설치 메뉴로 들어가면 AMD라고 제대로 표기되어 있기는 합니다.
CD 내용물의 경우 7770과 7750 드라이버를 동봉하고 있습니다. PDF 포맷으로 된 메뉴얼도 제공하고 있기는한데 HD7000대 제품이 아닌 HD4000~HD6000대 제품, 거기에 영문으로만 제공하고 있어서 꼼꼼함이 많이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도 종이로 된 빠른 설치 가이드는 한국어를 제공해주고 있더군요.
제품의 스펙
GPU-Z로 본 VTX3D HD7750 LP의 스펙모습입니다. 우측은 기존에 사용하던 EVGA사의 Geforce GTX 550Ti인데 비교를 위해 같이 첨부하였습니다. 화면에 한번에 점을 주사하는 갯수를 뜻한다는 픽셀레이트의 경우 7750이 훨씬 더 높네요. 하지만 클럭, 텍스쳐 필레이터, 메모리 대역폭(72.0GB/s)은 많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확실히 550Ti보다는 한단계 아래성능의 제품이지만, 제작공정과 다이 사이즈 덕분인지 전력소비 효율은 월등히 앞섭니다. (VTX3D HD7750 LP 55w, EVGA 550Ti : 118W)
그런데 제가 사용하는 MSI사의 785GM-E65라는 메인보드는 PCI-E 2.0 x16을 지원하고, 550Ti에서는 제대로 표기가 되는데, VTX3D HD7750 LP 제품에서는 @x16 1.1로 나오는군요. 사용해본 결과 성능상 문제는 없는것 같은데 표기상으로는 왜저렇게 표기가 되는지 잘 모르겠군요.
3D 게임 테스트
테스트 환경
- AMD Phenom II X2 550BE (@3.2 X4)
- MSI 785GM-E65
- SEC PC3-10700 8GB (2GB*4)
- VTX3D – AMD Radeon HD7750 D5 1GB LP
- EVGA GEFORCE GTX 550Ti SC D5 1GB
- Sound BLASTER X-Fi Titanium Professional Audio PCI-EX
- Skydigital HD6 PCI
- Skydigital PS2-400NF7
- SEC SyncMaster 2232BW PLUS (1680 * 1050, 16:10)
- Windows 8.1
- WORLD OF WARCRAFT, STARCRAFT 2, DIABLO 3
저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2, 디아블로3, 하스스톤 등 블리자드 게임을 즐겨합니다. 해서 블리자드의 3D게임을 이용해 테스트해보았습니다.
간단히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능적 측면에서 보자면 550Ti보다는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최고 프레임에서는 550Ti와 격차가 좀 있으나 최소 프레임에서는 거의 근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간단히 오버클럭 테스트도 해보았는데 900/1250(GPU 클럭/메모리 클럭)로 오버를 할경우 800/1125일때보다 4프레임 전후하여 더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판다리아의 안개
▶ 옵션 설정
1680 * 1050 해상도에 설정은 ‘높음’ 옵션을 주고 테스트 하였습니다. 멀티 샘플링은 2배 설정으로 주었습니다.
– 일곱별의 재단
얼라이언스의 일곱별의 제단 앞마당에서 보여준 프레임 상황입니다. 단, 이 수치는 차이가 좀 있습니다. 7750의 경우 낮시간대에 잰 수치이고, 550Ti의 경우 저녁 피크시간대 잰 수치입니다. 3D 처리가 극격히 많아지는 3D MMORPG 게임에서는 메모리 대역폭이 낮은 HD7750LP가 많이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아래는 유저로 인해 프레임 변수가 거의 없는 위치에서 일반 모드와 오버클럭 모드를 비교해본 모습입니다.
– 여름벌 (판다리아 대도시 앞마당) : 일반 / 오버클럭 비교
– 네 바람의 계곡 : 일반 / 오버클럭 비교
② 스타크래프트 2 : 군단의 심장
▶ 옵션 설정
1680 * 1050 해상도에 설정은 ‘아주 높음’으로 체크 하였고, 테스트는 3대3 리플레이에서 시작 프레임, 모선 프레임, 교전 프레임으로 나누어 체크하였습니다. 계단 현상 방지 옵션은 체크 해제하였습니다.
– 3대3 : 모선
– 3대3 교전 : 불사조
스타2 군심 – 3대3에서는 VTX3D RADEON HD7750 LP의 성능이 돋보였습니다. 시작 부분은 차이가 컸으나 불사조 교전 부분에서는 GTX 550Ti와는 거의 차이가 안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오히려 550Ti의 프레임 폭차가 커 놀랬습니다.
③ 디아블로 3
▶ 옵션설정
1680 * 1050 해상도에 그림자 품질을 제외한 전부 높은 품질로 설정하였습니다. 계단 현상 방지 부분도 체크하였습니다.
– 고난의 벌판 (몹몰이 60마리 이상)
보시다시피 마을에서의 프레임 격차가 엄청나게 큽니다만, 60마리 이상 몹몰이 해서 잡을때의 격차는 그다지 크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550Ti에 비해 급격한 프레임이 하락이 덜해 오히려 안정적으로 보였던 부분도 있었습니다.
오버클럭의 효율과 문제점
일반적으로 게임 플레이시에는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과부화가 걸릴 수 있는 스타크래프트2 리플레이 8X모드에서는 900/1250, 900/1125 (코어 클럭/메모리 클럭) 모두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화면이 프리징이 걸리며 화면 상하가 분리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해외 벤치마크에서도 언급한 부분인데 오버클럭시 성능대비 전력효율이 상당히 안좋은 편입니다. 전력소비 부분은 직접 테스트해보지는 않았지만, 구글에서 찾아본 결과 타사의 HD7750 LP 제품중에 오버클럭상태에서는 풀로드시 전력소비가 7770보다 높게 나오는 수치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같은 전력소비 정보를 토대로 볼때 제가 사용한 VTX3D HD7750 LP 제품 또한 3~4프레임의 상승폭을 가져가기 위해 오버클럭하는 것은 효율적인 사용측면에서 볼때는 좋아보이는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다중 모니터에서의 효율
< 듀얼 모니터 사용시 GPU / 메모리 클럭 상황 >
EVGA – NVIDIA Geforce GTX 550Ti의 경우 싱글 모니터 사용시에는 아이들 모드의 작동이 잘되지만, 듀얼 모니터 사용시에는 계속 풀모드로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안그래도 전력소비가 116W에 달하는데 일반 웹서핑이나 동영상 시청에도 듀얼 모니터 사용이라는 이유하나만으로 풀클럭 작동되어버리면 전기 소비가 난감하게 되어버립니다. 물론? NVIDIA System Tools with ESA Support 유틸리티를 설치하여 수동 조절을 할 수 있지만, 말그대로 수동조절이라 게임과 웹서핑을 자주 넘나드는 사용자들은 일일이 조절하는게 매우 번거롭습니다.
그런면에서 볼때 VTX3D – AMD Radeon HD7750 LP의 경우 듀얼 모니터 사용시 메모리 클럭은 최고 클럭으로 작동하나, GPU 클럭은 기본 300MHz로 작동되면서 작업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클럭을 올리니 GTX 550Ti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작업을 하고 있음은 분명합니다.
쿨링팬 소음
쿨러의 소리는 작업에 따라 틀립니다. 최고소리는 부팅할때 들리는데 헤어드라이기 소리의 두단계 낮은 강도 소리가 들리더군요. 전체적으로는 풍향 소음이 아닌 전기적(?) 작동 소음이 좀 있는 편입니다. 게임이나 음악감상 같이 소리 볼륨이 큰 작업을 할때는 큰 문제가 안될 수도 있으나, 아이들 모드에서 문서 작업이 같이 조용한 작업을 할때는 사용자에 따라 거슬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둘다 좀 거슬리는 편이더군요.
드라이버의 문제점과 기타 충돌 문제
1.? VTX3D – AMD Radeon HD7750 LP 제품을 사용하다 중간에 EVGA 550Ti로 교체 장착한 후,? 다시 VTX HD7750LP를 재장착하면 윈도우즈 로그인 화면이 안뜨는 버그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화면상의 아이콘 커서와 좌측하단의 네트워크 아이콘, 그리고 키보드의 NumLock 불만 깜빡빡합니다. 발생했던 문제 상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EVGA 550Ti 제거 후, VTX3D HD7750 LP 장착. (Win 8.1 부팅 성공)
- 550Ti 다시 제거 후, VTX3D HD7750 재장착 (Win 8.1 로그인 화면 이상 발생)
- 화면이 안떠 로그인 불가. 전원버튼을 여러번 연타하면 시스템 종료는 가능.
- VTX HD7750 제거 후, 내장 HD4200 활성화. (Win 8.1 정상부팅 성공)
- 내장 HD4200 비활성화 후, VTX3D HD7750 LP 재장착.?(Win 8.1 부팅 성공)
?< 문제 발생 모습 >
똑같은 상황을 만들어 재실험을 하여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550Ti 제품 제거 후 HD4200을 작동시키면 바로 정상 부팅이 가능 하기에 엔비디아 드라이버의 언인스톨 문제라고는 단정지을 수 없겠더군요. 그렇다고 카탈리스트의 문제라고 하기에도 좀 그런것이, 장비 제거하지 않고 카탈리스트만 제거했을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 위 문제를 발견하게 된 계기는 바로 스타크래프트2 리플레이 프리징 버그 때문이었습니다. 장착후 첫 테스트에서 게임 플레이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리플레이 모드에서만 메인 하드디스크가 100% 액세스로 돌아가면서 리플레이가 시간이 갈수록 프리징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번의 문제 때문에 카탈리스트를 재설치하게 되니 프리징 버그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드라이버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3. 카메라 떨림을 보정하는 비디오 안정화 설정이라는 AMD Steady Video. 하지만 옵션을 켜서 동영상을 재생하기만 하면 드라이버가 불안정해져서 응답 중지 상태로 들어가게 됩니다. 스타2 리플레이 모드에서 오버클럭하여 볼때 발생하던 화면 2/3 분리 현상도 발생했었습니다. 덕분에 이 기능은 구경도 못해봤습니다.
< 기술은 만들었는데 안정화는 언제쯤… >
평가 요약
▶ 장점
- 1슬롯 LP형
- 무난한 성능
- 뛰어난 전력소비량
▷ 단점
- 엔비디아 제품과 교체 장착 사용시 문제점 발생
- 불안정한 드라이버
- 오버클럭시 좋지못한 전력소비량 대비 성능
- 쿨링팬 소음 문제